안녕하세요 Live with Real Estate, Lead your Real Estate 리레스 입니다. 오늘은 입지서열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 24년 4분기부터 25년 2월초까지 30평대(전용84 기준) 서울 아파트를 구와 동별로 나누어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입지순위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목차
1. 입지서열이란?
2. 입지서열을 알아야 하는 이유
3. 서울 구별/동별 아파트 최신입지서열 분석(24년 4분기~25년 2월초 실거래가 분석)
 - 신축/준신축 기준(2017년~2025년 준공 아파트)
 - 구축 기준(1970년대~2000년 준공 아파트)



1. 입지서열이란?
 - 입지 서열이란, 각 지역의 아파트/토지가격을 분석하여 일정 기준을 두고 서열화를 시키는 것인데요. 예를들어 1급지는 강남구 압구정동, 서초구 반포 2급지는 성수, 여의도 3급지는 목동, 잠실 이런 식으로 나누는 것이지요.

2. 입지서열을 알아야 하는 이유
- 부동산은 서열이 확실히 정해져있어 단기간에는 그 서열이 뒤바뀌기가 힘들다고 하죠? 10년전 입지서열과 20년전 입지서열과 지금의 서열순위를 비교해보면 크게 바뀌지 않는 것 같습니다. 입지서열을 알고 있어야 하는 이유는 아파트 투자시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아파트 가격은 상승기라고 동시다발적으로 오르는 것이 아니라 1급지가 오르고 나면 일정 시차를 두고 2급지가 오르고 또 일정 시차를 두고 3급지,4급지가 오르는 식입니다. 꼭 웅덩이에 돌을 던졌을때 물결이 중심부터 천천히 퍼져나가듯이, 중심지가 먼저 오르고 점점 먼곳으로 그 물결이 퍼져나가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만약 상급지의 가격변화를 잘 살펴보고 있다면 내 예산에 맞는 급지의 아파트를 살수있는 타이밍을 알수 있겠죠? 아직 해당 급지까지 상승 분위기가 도달하지 않았을 때 미리 가서 기다리고 있는거죠! 

3. 실거래가 기준 최신 입지서열 분석(24년 4분기~25년 2월초 실거래가 분석)
- 그럼 24년 4분기~25년 2월초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서울시 30평대 아파트 입지서열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어디까지나 전체적인 입지를 보기 위함이니 여러분들의 생각과 또는 실제 입지서열과는 미세하게 차이가 날수 있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서울 내에서 단순히 구별로 나누는 것은 너무 범위가 커서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서 동별로 구분을 해보았습니다. 조건은 2가지로 구분하여 1) 신축,준신축 기준으로 2017년~2025년 준공 아파트  2)구축 기준으로 1970년대~ 2000년 준공 아파트로 나누어서 비교해보겠습니다. 신축기준과 구축 기준일 때 입지차이가 어떻게 나뉘는지 체크해보는것도 재밌겠네요!

- 신축/준신축 기준 입지서열 (2017년~2025년 준공 아파트)


- 구축 기준(1970년대~2000년 준공 아파트)

Live with Real Estate, Lead your Real Estate 리레스 였습니다. 신축을 기준으로 보니 1급지는 서초구 반포동이 2023년 준공된 원베일리 효과로 압도적으로 1등이었는데요. 구축으로 비교해보니 강남구 압구정동이 현대아파트 효과로 압도적으로 1등이네요. 1977년 준공된 압구정현대아파트가 40억, 2023년 최신축인 반포 원베일리가 50억인데 만약 압구정현대아파트가 재건축이 된다면 아마 10억의 차이는 충분히 따라잡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처럼 입지서열을 비교할때는, 비슷한 연식을 기준으로 아파트를 비교해야 합니다. 신축과 구축을 비교해서는 정확한 서열을 매길수가 없죠. 또한 세대수, 주변환경등 동일하게 놓을 수 있는 기준을 추가할때마다 더 상세하고 정확한 분석을 할수있겠죠? 

+ Recent posts